CVE-2017-5375, CVE-2016-1960

2023. 8. 2. 16:21· 보안/취약점 분석
목차
  1. 유형
  2. exploit-db
  3.  
  4. 분석
728x90

 

유형

RCE(remote code execution)

CWE-119

 

 

exploit-db

https://www.exploit-db.com/exploits/44294

 

Firefox 44.0.2 - ASM.JS JIT-Spray Remote Code Execution

Firefox 44.0.2 - ASM.JS JIT-Spray Remote Code Execution EDB-ID: 44294 CVE: 2017-5375 2016-1960 Date: 2018-03-16

www.exploit-db.com

 

 

분석

 

- ASM.JS & JIT SPRAY & ASLR and DEP 우회방식을 사용함.

- 환경 : Firefox 44.0.2 32bit Windows 10 1709

- exploit 성공 시 cale.exe 실행

 

 

 / * * 기본 개념 * * / 

 

* ASM.JS : Javascript의 부분 집합

 

* JIT SPRAY : Just-In-Time 컴파일 동작을 악용해 ASLR과 DEP를 우회하는 exploit

 

 

* ASLR(Address Space Layout Randomization) :  주소 공간 배열 무작위화. 리눅스 자체에서 실행하는 메모리 보호 기법으로, 매번 실행할 때마다 주소를 무작위로 바꾸어 공격을 방해하는 방법. stack. heap, libc의 base address가 무작위로 변함.

 

      1) BruteForcing : 고정된 주소값이 나올 때까지 대입하는 방법.

      2) None ASLR Module : 한 프로그램 안에서 ASLR이 걸리지 않은 모듈을 공략.

      3) Info Leak : 스택의 메모리를 읽는 버그를 사용해 무작위화된 메모리 주소를 읽어 사용하는 것. 

 

 

* DEP(Data Execution Prevention) : 악의적인 코드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모리를 추가로 확인하는 기술. 즉, 실행코드가 시작되지 않은 위치에서 실행 코드가 시작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.

  • DEP를 우회하려면 RTL(Return To Library; 라이브러리로 돌아가게 하는 방법)로 우회할 수 있음.
  • ASLR + DEP 우회 방식이라면 ROP(Return Oriented Programming)를 사용해 우회할 수 있음.

 

 

 

 

 


reference

 

https://rh0dev.github.io/blog/2018/more-on-asm-dot-js-payloads-and-exploitation/

https://roccoon98.tistory.com/5

https://github.com/rh0dev/expdev/blob/master/CVE-2017-5375_ASM.JS_JIT-Spray/CVE-2016-1960_Firefox_44.0.2_float_pool_spray.html

https://r4mbb.tistory.com/entry/%EB%A9%94%EB%AA%A8%EB%A6%AC-%EB%B3%B4%ED%98%B8-%EA%B8%B0%EB%B2%95-NX-BitMS-DEP

https://dokhakdubini.tistory.com/298
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8D%B0%EC%9D%B4%ED%84%B0_%EC%8B%A4%ED%96%89_%EB%B0%A9%EC%A7%80
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JIT_spraying

728x90

'보안 > 취약점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VE-2023–37734: Buffer-overflow in mp3_audio_converter  (0) 2023.08.11
CVE-2017-17969: ZIP Shrink Heap Buffer Overflow  (0) 2023.08.11
CVE-2022-0453: A Remote Stack Overflow in The Linux Kernel  (0) 2023.08.08
CVE-2019-6498: GattLib 0.2 Stack Buffer Overflow  (0) 2023.08.08
CVE-2017-15048: Zoom Linux Client Stack-based Buffer Overflow  (0) 2023.08.08
  1. 유형
  2. exploit-db
  3.  
  4. 분석
'보안/취약점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CVE-2017-17969: ZIP Shrink Heap Buffer Overflow
  • CVE-2022-0453: A Remote Stack Overflow in The Linux Kernel
  • CVE-2019-6498: GattLib 0.2 Stack Buffer Overflow
  • CVE-2017-15048: Zoom Linux Client Stack-based Buffer Overflow
소-은
소-은
250x250
소-은
남소금
소-은
전체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98)
    • CS (93)
      • 데이터베이스 (9)
      • 운영체제 (2)
      • 알고리즘 (12)
      • 자료구조 (30)
      • 네트워크 (26)
      • 컴퓨터구조 (6)
      • 인공지능 (8)
    • PS (39)
      • BOJ (34)
      • Programmers (4)
    • 언어 (23)
      • C, C++ (8)
      • 파이썬 (1)
      • Rust (13)
    • Web (13)
      • CSS (2)
      • JavaScript (1)
      • React-native (4)
      • React (6)
    • 클라우드 (5)
    • ROS (6)
    • 보안 (11)
      • 웹 해킹 (3)
      • 취약점 분석 (7)
    • Paper (2)
    • 협업 (3)
      • git (3)
    • 기타 (2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
인기 글

최근 댓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v4.2.0
소-은
CVE-2017-5375, CVE-2016-1960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개인정보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포럼
  • 로그인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